본문바로가기

연간사업계획

HOME 소개 연간사업계획

정책대응·규제개선 활동으로 산업진흥 강화

1.국내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제 지원

  • 투자 활성화를 위해 연구개발・시설투자 공제율 상향(10%p) 및 이월기간연장(10년→20년),
  • 세제 실효성 확보를 위한 최저한세율 인하(17%→15%), 직접환급제 건의

2.근로․환경 관련 국내 규제 완화 대응

근로기준법
기술개발 저해요소 해소를 위해 근로자 디스플레이 R&D분야
주52시간제 규제 적용 제외 등 첨단전략 업종과 함께 공동 건의
배출권
온실가스 감축 요구 충족우리 업계의 무상할당
유지ㆍ합리적인 할당량 수립이 될 수 있도록 대정부 건의
* 제4차 기본계획`26~`30 발표(`24.12) → 세부 이행내용을 담은 할당계획 수립(~`25.6)

OLED 초격차 실현 및 신시장 창출

1.Ex-OLED 기술 개발 및 OLED 완전한 전환 지원

R&D
△모빌리티, △OLEDoS, △라이트필드 등 `25년도 신규 R&D 과제18개(156억원 규모) 런칭
향후 10년간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별 목표를 담은 중장기 로드맵 마련(‘25.2Q)
* 제4차 기본계획`26~`30 발표(`24.12) → 세부 이행내용을 담은 할당계획 수립(~`25.6)
신시장
디스플레이 新응용분야(항공・조선・방산 등) 발굴위한 네트워크 구축・수요분석 및
新응용제품 제작 지원*
* `24년 봉안당 투명 고인추모시스템 등 7건(5.8억원) 지원 完, `25년의 경우 사업 1단계 종료에 따라 기술력·활용성 등을 고려한
신개념 OLED 제품 3건(6억원) 추가 선정 및 집중 지원 예정

2.소부장 자립화에 필요한 기술・실증 지원

R&D
OLED 상용화를 위해 원가 절감 및 성능 고도화된 EL-QD(전계발광 양자점) 발광 소재 및
노광기 등 장비 기술개발 지원
* EL-QD 발광소재와 소자, 잉크젯 장비 기술 개발(’25~‘28, 152.6억원)
장비활용
기술지원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 완공* (’24.10)에 따라, 소부장․패널 등 시험․평가구축장비
운영을 통한 기업 기술지원추진
* OLED 공정 및 시험평가 장비, 유틸리티 장비 등 79종 87대 장비구축 완료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산업생태계 초석 마련

1.무기발광 예타사업 본격 추진 및 산업생태계 활성화 지원

R&D
대면적 및 고해상도 마이크로 LED TVㆍ스마트와치 제작에 필요한칩 제조전사 등 관련 분야
17개(180억원 규모) 과제 추진(‘25.4~)
생태계구축
국내 무기발광 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산 기술을 적용한 최초 실외 마이크로LED 사이니지
공공 시범설치사업 추진(`25.상)

2.무기발광 사업 추진단 출범 및 스마트모듈러센터 장비도입

사업추진단
무기발광 사업의 애로·기술 자문, 과제간 시너지 창출 및 대내외 홍보,
모듈러센터 운영 등 효율적 사업운영을 위한 추진단 설치
* 구성 및 역할 : 추진단장(준상근직) 外 전담운영인력 2명 및 외부위촉 전문위원 4명 내외로 구성,
정부·전문기관·협회와의 유기적 소통을 통한 각 과제별 성과 극대화 도모
스마트
모듈러센터
센터 건축, 인력운영 계획 및 필수 화소장비 우선 도입심의* 등 센터 구축을 위한 인프라 방향 설정
* 총 56개 장비에 대해 `25년 화소형성장비(전사·접합·리페어 등) 선제적 도입 후 연차별로 우선순위에 의거 단계적 도입

스마트모듈러센터 사업 개요

사업명
스마트모듈러센터 사업
위치/규모
충남 아산시 탕정면 일원(아산 탕정테크노일반산업단지) / 4,000㎡
기간/예산
‘25.10~’28.12(4년 3개월) / 1,461억원
내용
①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연구개발 및 시험생산, ②기업 지원 및 평가분석을 위한 인프라 구축

전주기 맞춤형 인력양성 체계 완비

1.산업주도 현장 중심 교육을 위한 인력양성 체계 마련(아카데미)

인력공급
민간주도의 아카데미 출범(’25.3~)을 통해 디스플레이 초격차 기술을 실현할 전문인력 양성 및
현업적응기간 단축 지원
* (교육목표) 연 700명 이상(미취업자 200명/재직자 500명)
인프라구축
디스플레이 전용 교육장 및 XR 활용 교육 시스템 구축 등 산업계 맞춤형 교육 기반 마련
* 교육장 : 서울교육장(강남권) 및 혁신공정센터(천안), 마이크로 LED센터(안산)

2.첨단 OLED 시장을 주도할 전문인력 양성(신규 25~30) 및 채용 지원

석‧박사
고성능‧가변형 OLED 신기술 트렌드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소‧부‧장 애로 기술 해소
* (참여대학) 가천대, 단국대, 중앙대, 순천향대, 한양대, 호서대, 연세대, 한양대ERICA
채용지원
정부사업으로 검증된 전문인력 업계 간 1:1매칭지원

아시아 중심 → 글로벌・신산업 판로확대

일시/장소
전시회
2025년 8월 7일(목) ~ 8월 9일(토) / COEX Hall A
비즈니스 포럼
2025년 8월 6일(수) ~ 8월 7일(목) / COEX 401호
주요행사
개막식(8.7), 패널-소부장 구매상담회, 무역상담회, 채용박람회, VIP 만찬 등

1.K-Display 전시회의 명실상부한 글로벌 행사로의 발돋움

글로벌
위상 강화
국내ㆍ외 주요 관계자 초청* , OLEDㆍ마이크로LED 분야글로벌 리딩기업 참여, 참관단 운영 통해
국내기업의 기술력 및 위상 홍보
* 산업부 장관(초청완료) 및 대만(TDUA), 중국(CODA, SDIA), 일본(SEAJ) 등의 참관단 예정
* 전시규모 : (‘24) 총 427부스 중 해외 81부스 → (’25) 총 450부스 중 해외 100부스

2.마이크로LED·사이니지 등 신산업 분야로의 사업화 기회 마련

바이어 초청
OLED를 비롯하여 마이크로LED, 사이니지, 자동차 등신시장 분야 글로벌 패널·모듈·세트 기업의
바이어 참여 확대(5개국 15개사)
해외 마케팅
지원
투명OLED, 마이크로LED, 사이니지 등 국내기업의신산업 분야 사업화 기회 마련을 위한
해외 참관단·공동관 운영
* 해외참관단 : Touch Taiwan(4월/대만), 해외공동관 : InfoComm(6월/미국)

신시장 선점을 위한 첨단융합분야 표준협력 강화

1.차세대 융합기술·제품분야 표준개발

표준제정
첨단융합 제품 출시 가속화에 따라 XR, 투명, 자동차, 3D등 차세대 융합기술의 성능측정 방법 표준제정 추진
* 투명디스플레이 특성측정법, AR/VR 교정용 렌즈 측정법, 3D 볼류메트릭스 측정 등
R&D연계
무기발광, 3D 등 성능평가가 필요한 R&D에 대해 표준 연계과제 발굴 추진

2.글로벌 표준선도를 위한 협력강화 기반 마련

리더십 확보
탄소배출량, 마이크로LED 등 신규 국제표준 개발이 필요한 분야의 리더십 유지‧확보(간사, 컨비너, P/L수임 등)
협력체계
구축
디스플레이 국제표준기구(IEC TC110) 국내 총회개최 및 국제포럼을 통해 표준 우호국을 확대하고
국내기업의 표준참여 확대 촉진
* 총 56개 장비에 대해 `25년 화소형성장비(전사·접합·리페어 등) 선제적 도입 후 연차별로 우선순위에 의거 단계적 도입

IEC TC110 총회 및 국제표준 포럼 개요

일시/장소
’25.9.22(월) ~ 9.26(금) / 제주도
주최/주관
산업통상자원부·국가기술표준원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주요행사
디스플레이 표준로드맵 및 추진전략 발표, 문건제정 검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