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사업계획
비전
글로벌 혁신기반 구축 및 핵심기술 개발로
디스플레이 산업의 세계 Hub화
-
- Display R&D Global Hub 센터화
-
글로벌, 개방형 2세대 공정지원센터 구축
인력양성지원 ·창업보육지원센터 구축
신뢰성 측정지원센터 연계 운영
-
- Display 제조혁신 2025추진
-
산학연관 범국가 R&D 수행체계 구축
차세대·융복합·기술개발, 핵심부품 국산화
정부, 대중소기업상생 R&D(1~4기 KDRC)추진
-
- 산업 진흥 규제혁신 지원 강화
-
세제 지원, 환경 및 통상 대응활동 강화
산업현장 맞춤형 인력 양성
디스플레이 전문펀드 조성
-
- 핵심 첨단 기술의 효율적 보호 지원
- 기술보호지원체계 확립 국가핵심기술 및 첨단기술보호지원 산업기술보안협의회 운영 지원
-
- IMID 전시회/학술대회 단일화, 글로벌화
- IMID 2020통합·글로벌 기반 마련 4차산업 혁명기술과 IMID 2019 접목
-
- 국제협력 사업의 전략적 지원
- 한중 기업간 마케팅 및 기술교류 활동 지원 한베트남 등 국제기술협력사업 지원 차세대 디스플레이 표준화 지원
-
- 회원사간 협력·교류 활동 지원
- 제 10회 디스플레이의 날 개최 분과위원회(장비, 소재, 한·중) 및 디스플레이 리더스포럼 운영 회원사 정보서비스 지원, 디스플레이협회 회원사 디렉토리 발간
가. 글로벌, 개방형 2세대급 공정혁신센터 구축(국비 : 1,049억원, 지방비 : 549억원)
구축개요
- 위치 : 충남 천안시 직산읍 삼은리 (재)충남테크노파크 내 유휴 부지
- 전체부지규모: 19,000㎡(전체 유휴부지 33,000㎡) *건축 계획에 따라 변경 가능
- 용도지역: 일반공업지역 (법정 건폐율 70%이하, 용적률 350%이하)
구축 기본방향
- 중소·중견 기업 R&D 촉진 및 산업 기반 강화 : 신소재, 신공정 기술 등 R&D성과물의 성능평가 및 상용화 추진을 위한 Test-bed 구축
* 중소·중견 기업의 R&D 능력 배양
* 소재·장비 성능 검증으로 조기 사업화 가능 : 패널기업의 연구라인과 공동 성능평가
- 예타사업 종료이후에도 지속경영이 가능하도록 시장수요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로 구축
- 캐티바, 캐논, 프라운 호퍼 등 해외 유수 기관 현물참여(MOU 체결 등) 유도를 통해 글로벌.개방형 공정 혁신센터 설립
구축범위
- 2세대급 글래스 및 플렉서블 패널까지 소자 제작을 연결할 수 있는 단계별 공정 및 일괄공정 라인 구축
- 각 단위공정 개발은 TFT 공정, OLED 공정, 모듈공정으로 분류 - 혁신소재.공정장비 구축
- 2세대급 글래스 및 500mm Roll 기반의 장비구축으로 혁신소재 및 공정을 실증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 - 평가인증 장비 구축 : 물성분석, 광특성 분석, 신뢰성 평가 장비 구축
추진일정
- ‘준비위원회’를 통해 공정센터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세부 추진 계획 수립
- 패널기업 공정 전문가 및 소재.장비 기업이 센터설립 준비(위)에 참여하여 기업의 요구사항 실질 반영일정, 구분, 내용의 내용이 왼쪽으로 표시됩니다. 일 정 구 분 내 용 ‘18.12월 준비위 구성 - 준비위원회 구성 및 Kick-off 개최 ‘19.12~2월 준비위 운영 - 기반구축 방안마련을 위한 준비위원회 운영 ‘19.1~2월 기본계획 수립 - 건축 기본계획 수립
- 사전 환경성 검토(입지 및 사업규모 적정성 등)‘19.2~7월 인허가 해결 - 인허가 제한문제 해결(충청남도) ‘19.3~7월 건축 준비 - 기초조사, 토지 적성평가, 문화재 지표조사 등
- 환경영향평가(자연환경 등 예측·분석·평가)‘19.8월~ 입찰/계약 - 설계, 건설 사업관리, 공사수행 등 19.10~`20.12월 시설구축 - 기본 및 실시 설계
- 시공, 시운전, 사용검사, 유지보수 등
나. 중소기업 융복합 창업지원 및 인력양성 지원센터 구축
구축개요
- 위치 : 공정혁신센터 내 기업지원동(2F)
- 센터규모 : 1,402㎡(기업지원동 1개층) *건축 계획에 따라 변경 가능
센터역할
- 창업공간에 벤처기업을 입주시켜 디스플레이 액자 등 중소기업 업종에 적합한 다품종 소량생산 시제품 개발 및 판로지원
- 기업 성장유형에 따른 맞춤형 컨설팅
- 기업 현장애로 기술해결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 운영
- 공정혁신센터장비 활용 및 기술개발 지원
- 디스플레이 기업 재직자, 대학생, 구직자 등을 대상으로 공정센터 장비를 활용한 실습위주의 교육을 통해 현장 기술인력 양성
- 패널기업 시니어급 전문가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디스플레이 인력양성 내용(예시) >
사업구분, 내용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설명 사업 구분 내 용 디스플레이 공정 실습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 및 대학생, 구직자를 대상으로 구축된 공정센터 장비활용을 통한 실무 습득 기술세미나 개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교육 및 세미나 등을 통해 인력양성 교재 개발 융복합, 차세대, 혁신소재·공정과 관련한 디스플레이 교육용 교재 개발을 통해 대학, 연구소, 기업체 교육 효율성 제고 등
다. 기존 기반센터와의 연계.운영
추진배경
- 기 구축되어 있는 전국 7개 지역별 특화 디스플레이 기반센터와 공정혁신센터간 유기적 연계.운영
- 공정장비 중복 도입 배제를 통한 예산절감 및 상호 시너지 증대
< 디스플레이 국내 인프라 구축현황 >
기관명 | 구축장비 및 서비스 제공 분야 |
---|---|
차세대디스플레이 연구센터 (경희대/서울) |
- 지원기간: 2001년~2006년 - 총사업비: 66억 (정부 44억, 민간 22억) - 기반구축: 6“급 TFT/AMOLED 연구공간 확보 |
유기디스플레이연구센터 (서울대/서울) |
- 지원기간: 2004년~2009년 - 총사업비: 95억 (정부 49억, 민간 37억) - 기반구축: AMOLED 공정 및 평가시스템 구축 |
디스플레이부품소재기술혁신센터 (경희대/수원) |
- 지원기간: 2004년~2009년 - 총사업비: 80억 (정부 50억, 지자체/민간 30억) - 기반구축: 부품소재 장비 구축, 활용 |
모바일디스플레이공동연구센터 (경북대/대구) |
- 지원기간: 2005년~2010년 - 총사업비: 70억 (정부 50억, 지자체/민간 20억) - 기반구축: Flexible 기판용 ITO 제조 장비 |
(재)충남테크노파크 디스플레이센터 (충남TP/천안) |
지원기간: 2002년~2007년 총사업비: 474억 (정부 343억, 지자체/민간 135억) 기반구축: 부품소재 평가/분석/개발 지원 |
전북나노기술집적센터 (KETI/전주) |
지원기간: 2004년~2009년 총사업비: 739억 (정부 228억, 지자체/민간 511억) 기반구축: 인쇄공정 및 장비개발 지원 |
광주나노기술집적센터 (생기연/광주) |
지원기간: 2004년~2009년 총사업비: 783억 (정부 250억, 지자체/민간 533억) 기반구축: 박막증착 및 OLED 조명 면광원 기반구축 |
연계.운영 방안
- 기 구축된 센터를 포함한“기반구축 협의체”를 구성하여, 각 센터들의 장점을 최대 활용하여 협업수행
< 추진일정 >
-
‘2019. 3월
기반구축 협의체
구성 및 역할규명 -
‘2019. 3월~10월
기반구축
협의체 운영 -
‘2019. 11월
기반구축 활용방안
결과보고서 -
‘2019. 12월
결과보고서 산업부
보고 및 사업적용
< 참고 : 디스플레이 활용 분야 및 연계 방안(안) >
기관명 | 활용분야 및 보유공정 | 부처 및 주관기관 |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산업화지원을 위한 활용가능성 검토 |
---|---|---|---|
차세대 디스플레이 연구센터 |
- 6“급 TFT-LCD/ AMOLED 제조 공간 확보 | 산업부 (경희대) |
- 패널 제작은 가능하나 규모가 작고 노후화 - 6“급 TFT-LCD/AMOLED 제조 공간 확보 |
유기디스플레이 연구센터 |
-AMOLED 공정 및 평가 시스템 구축 | 산업부 (서울대) |
- 대학 내 설치된 AMOLED 중심의 연구기관으로 시제품 제작은 불가능 - OLED 연구개발사업의 연계 가능 |
디스플레이 부품소재지역 기술혁신센터 |
디스플레이 부품소재 장비구축/활용 |
산업부 (경희대) |
- 기반구축: 부품소재 장비 구축, 활용 - 평가장비 연계 가능 |
모바일 디스플레이 공동연구센터 |
Flexible 기판용 ITO 제조 장비 |
산업부 (경북대) |
-Flexible 기판용 장비 중심, 연구중심센터 - OLED 연구개발사업의 연계 가능 |
(재)충남TP 디스플레이 센터 |
디스플레이 부품소재 장비 구축 (신뢰성 평가 장비 위주) |
산업부 (충남TP) |
- 디스플레이부품 시제품 공정(미세패턴, 초정밀가공, 인쇄장비), 광/신뢰성시험 기반 구축 - 광부품 개발사업과 연계가능 |
전북나노기술 집적센터 |
나노패터닝, 에칭장비 차세대 디스플레이 패터닝 유연/인쇄전자 |
산업부 (전자부품 연구원) |
- 유연/인쇄전자 중심의 설치된 연구기관으로 OLED 일부 가능 - OLED 연구개발사업의 연계 가능 |
광주나노기술 집적센터 |
나노증착, 확산장비, 광응용기술(OLED조명, 광수동소자,박막태양전지) | 산업부 (생산기술 연구원) |
- OLED조명 및 광소자 특화팹, 클린룸을 제외하고 활용가능 시설 없음 - 광부품 응용 기술로 연계 가능 |
가. 산.학.연.관 범국가 R&D 수행체계 구축 (국비 : 2,668억원, 민간 : 962억원)
기본방향차세대 디스플레이 선도를 위해 분야별 연계(기술개발↔기반구축, 기술개발↔기술개발)를 통한 시너지 창출에 노력
- (기술개발) 독보적인 기술력과 시장지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로 선택과 집중
- 초저원가 구현을 위한 공정방식 혁신 및 혁신 소재.공정 기술개발
- 신시장 창출 및 기술 초격차 확보를 위한 차세대.융복합 기술개발 - (기반구축) 혁신공정센터는 사업종료 이후에도 지속경영이 가능하도록 시장수요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
- ’19년 하반기에 집행할 70억원 과제기획은 디스플레이 PD가 산.학.연 전문가로 기획위를 구성하여 수행 중이며, 2019.4월 공고 예정
< 예타 연도별 예산계획 >
(단위: 억원)
연도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합계 |
---|---|---|---|---|---|---|---|---|
국고 | 70.60 | 974.05 | 532.62 | 750.33 | 569.57 | 477.09 | 383.09 | 3,769.64 |
지방비 | 26.79 | 419.89 | 17.12 | 20.45 | 21.06 | 22.04 | 21.92 | 549.27 |
민자 | 27.08 | 101.00 | 141.64 | 191.57 | 196.58 | 166.79 | 137.75 | 962.41 |
소계 | 124.47 | 1,494.94 | 691.38 | 962.35 | 787.21 | 665.92 | 542.76 | 5,281.32 |
* 산업부 일반회계 예산에 따라 변동 가능
추진방안협회 내 사업단 운영을 통해 사업의 전주기적 관리.운영
- (사업단 구성) 사업단장 및 소분과(위)로 구성, 사업 관리
* 단장(비상근) : 대형 연구개발 사업 및 수행 능력이 있는 전문가 - (사업단 역할) 사업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제 상시점검, 운영위원회 개최, 과제 간 연계 및 정보공유 등을 수행
- 분기별 진도점검(성과관리) 및 수요기업 전문가 컨설팅 수행
- 성과 확산을 위한 수요-공급 산업간의 허브 역할 수행
* 연구개발 결과물의 생산적용, 기술확산, 사업화 지원 등 상생협력 추진
* 연구개발 결과물의 관리, 활용방안 수립 및 사업화 지원 (사업 홍보)
- 기술개발 과제간, 기술개발과제와 혁신공정센터간 연계
* 상호연계 및 정보공유를 위한 정기적인 워크숍 개최
- 운영위원회 개최 및 운영
- 4개 소분과(혁신소재 공정, 차세대, 융복합, 기반구축) 운영
- (운영위원회) 사업단장, 패널.소재.장비기업 임원, 산업부, 충청남도, PD 등 산.학.연.관 전문가로 구성
- 사업목표 조정 및 세부사업 연계 등 사업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사항 심의 등 - 혁신공정센터 추진단
- 혁신공정센터 설립.운영을 위한 인허가 등 실무업무 수행
- 센터 구축을 위한 건물설계, 도입장비 선정 등은 패널기업에서 관련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회의를 통해 수행
- 구축 초기단계 추진단장은 충남디스플레이센터장이 겸직수행
- 구축이후 운영단계의 추진단장(혁신공정 센터장)은 공정분야의 최고 전문가를 운영위원회에서 선임 - 추진 일정
일 정 구 분 내 용 18.12월~1월 기획준비 - 수요조사 시작 및 기획대상과제 발굴 19.1~2월 상세기획 - R&D 과제기획(과제뱅크 및 RFP 작성 등) 19.2~3월 과제검증 - 기획대상과제 검증(인터넷 공시 등) 19.3월 최종확정 - 사업심의위원회를 통한 최종과제 도출 19.4월 사업공고 - 최종 확정과제의 인터넷 공고 19.6~7월 사업지원 - 신규평가, 사업지원 및 협약
나. 혁신소재·공정 기술개발(R&PD) 추진 (국고 : 1,347억원)
디스플레이 공정의 유연·연속생산방식(Roll-to-Roll)구현을 통해 디스플레이 생산 패러다임을 혁신하여 경쟁국과 기술 격차를 유지
- (50% 원가절감을 위한 혁신 생산 체계) 기존의 진공, 유리기판 중심의 생산체제를 비진공, 인쇄, 플라스틱 기판중심으로 전환
- (30% 원가절감을 위한 혁신공정장비) 초미세패턴 형성, 프린팅, 롤투롤(Roll-to-Roll) 기술 개발
- (20% 원가절감을 위한 혁신소재) 롤투롤 공정에서 생산가능한 기판·소자의 소재 개발 추진 - (소재-공정 연계) 개발된 R&D 결과물이 조기 상용화 될 수 있도록 소재와 장비를 연계하여 공동개발 추진
< 디스플레이 혁신소재공정 기술개발 목표 및 개념 >
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개발(R&ID) 추진 (국고 : 659억원)
현재 디스플레이의 단순 개선이 아닌, 자연상태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초고화질, 자유형상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 (초고화질 디스플레이) 사람이 자연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을 정도의 초고해상, 초고색순도 디스플레이 기술 및 구동·광학 기술
- (무정형 디스플레이) 3차원 및 비정형 공간에 모양, 형태, 표시 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구동 기술
- (미래 원천 기술) 새로운 소재, 소자, 공정을 이용하여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
< 융복합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목표 및 개념 >
라. 융복합 디스플레이 기술개발(R&BD) 추진 (국고 : 583억원)
전통 시각 매체와 타 산업과의 융합, 주위 환경과 접목을 통해 신시장 및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응용제품 개발
- (퍼블릭-임베디드 디스플레이) 초대형 혹은 제품에 내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 (지능형 인터렉티브 디스플레이) 정보의 전달을 넘어서 감정의 전달과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촉감으로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개발
- (모바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실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 융복합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목표 및 개념 >
마. OLED 핵심 부분품 국산화 기술개발 추진 (국고 : 15.4억원)
OLED 공정장비 제조단가의 2/3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부품의 국산화율 제고를 위한 R&D 및 성능평가 지원
- 패널-장비-부품 업체가 상생협력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성능평가 R&D 사업 신규 운영
[기술개발] 대-중소 상생협력 체계 구성
-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핵심 부품에 대해 패널-장비-부품업체가 공동으로 연계하여, 최종 사업화까지 컨소시엄을 구성
·부품기업 : R&D 수행 주체
·장비기업 : 스펙제시 및 1차 신뢰성 평가
·패널기업 : 부품 채용장비 최종 평가
- 중소 부분품 기업의 부족한 기술력 지원을 위해, 학계 및 연구소가 함께 참여하도록 구성[성능평가] 장비 및 패널기업의 인증평가서 발행이 가능한 기관으로 구성
- 평가·수요기업으로부터 기술개발 과제의 성과 및 스펙에 지속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지도록 지원 - 회원사 지원을 위한 과제 수요조사 접수 및 상세기획 반영
< 2019년 소재부품미래성장동력사업 공고 대상 후보과제(안) >
No 분야 과 제 명 ’19년 예산 1 OLED 장비
부품기술OLED용 PECVD/Etch 장비의 90kW 이상 RF Power System 개발 3억원 이내 2 저비용/고효율화를 위한 자외선 고체레이저 기반 라인빔 광학계 개발 3억원 이내 3 CVD장비 원료공급용 600도 이상 발열체 삽입형 Canister 기술개발 3억원 이내 4 FMM 세정을 위한 초고압 미세 노즐 개발 2억원 이내 5 OLED 디스플레이용 서브마이크로미터급(≤1㎛) 고정밀 장치 개발 2억원 이내 * 산업기술평가관리원 담당자: 차세대디스플레이 박영호 PD
< 추진일정(안) - OLED 장비 부품 개발 >
< 추진일정(안) - OLED 장비 부품 개발 > 일 정 구 분 내 용 ‘18.4~5월 컨소시엄 구성 및 사업제안 - 사업공고(4월 예상), 컨소시엄 구성
- 사업계획서 작성 및 제안‘18.8~11월 신규과제 기획 - `20년 신규 R&D 과제 기획 및 RFP 도출
바. 정부.대기업.중소기업 상생 R&D 지속추진 및 KDRC 4기 신규 기반마련
미래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개발사업(KDRC 1~3기) 지속 운영
-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래 원천기술 확보 및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민·관 공통투자 R&D 사업 수행
< KDRC 사업 추진현황 >
< KDRC 사업 추진현황 > 구분 1기 2기 3기 사업기간 2015.06~2020.05 2016.10~2019.09 2017.06~2020.12 투자기업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AP시스템, 탑엔지니어링, 씨앤켐, 동진쎄미켐, 싸이노스, 에스엔텍 야스, 동진쎄미켐, 원익IPS, ICD, 탑엔지니어링 과제수 25개 7개 7개 총사업비 196억원
(정부 98억원+민간 98억원)18.16억원
(정부 9.36억원+민간 8.8억원)24억원
(정부 14.1억원+민간 9.9억원)* 1기 : 미래 디스플레이를 위한 소재 및 소자 핵심기술 개발
* 2기 : ICT 융합제품용 유기전자소자의 핵심 공정 및 부품 기술 개발
* 3기 : 차세대 디스플레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재 및 공정 원천기술 개발
2019년 중점 추진 업무
- 홈페이지를 활용한 세부과제 성과 DB 구축 및 협력 네트워크 강화
< 사업 성과관리 >
< 사업 성과관리 > 구분 주요 내용 비 고 온라인 관리 - 세부과제 성과(특허, 논문) 점검
- 참여연구원, 학생인력의 취업현황 점검분기
연차오프라인 관리 - 14회 디스플레이 총괄워크샵과 연계한 기술교류회 개최
- KDRC 과제의 통합 기술교류회 개최19년 7월
19년 11월 - 미래 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 R&D 지향점 설정
< 보고서 발간 및 대정부 R&D 건의 >
< 보고서 발간 및 대정부 R&D 건의 > 일 정 구 분 내 용 ‘19.1월 추진계획(안) 수립 - 미래 디스플레이 로드맵(1기), 소재/공정 기술 2025(3기) 추진방향 설정 ‘19.2~3월 위원회 구성 - 추진방향에 적합한 위원회 구성 및 Kick-off ‘19.4~8월 보고서 작성 - 위원회 운영을 통한 기획보고서 작성
- 대 정부 R&D 건의를 위한 RFP 도출‘19.9월~ 대정부 건의, 정보제공 - 기술수요조사 등을 활용한 국가 R&D 건의
- 회원사 대상 발간된 보고서 제공
KDRC 4기 추진을 위한 기반 마련
- 디스플레이 예타사업인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개발(미래 원천)과 연계하여, 기업의 직접투자가 어려운 기술 분야에 대한 민·관 공동투자 R&D 사업 추진
-정부 및 기업의 미래 원천기술 연구 주제(테마)에 대한 의견 수렴
- 소재/장비/패널사가 함께 투자기업으로 참여, 기업의 수요가 있지만 Risk가 큰 분야에 대한 R&D 과제 발굴
- ‘KDRC 4기 준비위원회’를 통한 사업 운영 기틀 마련< KDRC 4기 추진계획(안) >
< KDRC 4기 추진계획(안) > 일 정 구 분 내 용 ‘19.1Q 의견수렴 - KDRC 1기~3기 투자기업, 협회 임원사, 총괄책임자, 산기평으로 구성된 위원회 구성
(KDRC 4기 준비위원회)
- 위원회 운영을 통해 사업 추진 필요성 및 방향에 대한 민.관 의견수렴‘19.2Q 과제 기획 - 기업의 수요 / 학.연의 수요를 기반으로 Two-track 과제 발굴
- 민.관 협의를 통한 예산규모 확정 및 사업 운영 원칙 마련‘19.3Q~4Q 사업운영 기틀 마련 - 후보 과제에 대한 상세기획, 과제 수행기간 등 확정
- 운영체계(지침) 확정, MOU 체결 등을 통한 사업 추진 준비
사. R&D 기술정보 공유 및 신사업 발굴 지원
1. 제 14회 디스플레이 총괄워크샵 개최
미래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개발사업(KDRC 1~3기) 지속 운영
- `19년도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신규 추진 R&D 과제를 포함하여 총괄워크샵 확대 개최
* 행사 참가자 현황 : (`15) 369명 → (`16) 374명 → (`17) 291명 → (`18) 337명
* 행사 발표과제 현황 : (`15) 49개 → (`16) 54개 → (`17) 23개 → (`18) 25개
- `19년도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신규 추진 R&D 과제를 포함하여 총괄워크샵 확대 개최
* 행사 참가자 현황 : (`15) 369명 → (`16) 374명 → (`17) 291명 → (`18) 337명
* 행사 발표과제 현황 : (`15) 49개 → (`16) 54개 → (`17) 23개 → (`18) 25개
2019년 중점 추진 업무
- 소관과와 전담기관간 협의를 통해 프로그램 준비(4월) 및 홍보
< 2019년도 디스플레이 총괄워크샵 운영 계획(안) >
▶ 재도약을 위한 디스플레이 R&D `원년의 해'로서 성대한 규모로 확대 개최
- 디스플레이 전문사업 외에 기계로봇, 소재부품, 초절전LED 등 흩어져있는 관련 과제들의 참여와 `모임의 장' 활성화
- R&D뿐 아니라 비R&D 과제들을 포함한 정부 지원 전체 과제의 마당으로서 역할 수행
▶ B2B를 위한 비즈니스 장 마련 - 기존 연구자 중심의 R&D행사에서 벗어나, 비즈니스를 원하는 일반 참관객(R&D 과제 미수행 중인 기업 등)이 함께 하는 행사로 범위 확대
2. 디스플레이 융합 테크살롱 개최
정보, 의료, 교육, 서비스 등 4차산업 분야에서 미디어 아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의 ICT 융합 기술과 디스플레이 기술과의 접목을 시도
- ICT 융합 기술 및 미디어아트와 디스플레이 스마트화 기술 접목으로 디스플레이 제품의 新 비즈니스 전략도출 및 모델 개발
- 디스플레이학회와 연계하여 프로그램 운영위원회 구성, 전문성 강화
- 국내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전문가, 학회 및 세미나 등에 참석하는 해외연사를 추적·관리하여 연사로 섭외
< 추진일정 >
-
2019.1Q
프로그램 위원회
구성
-
2019.2Q
연사섭외 및
프로그램 홍보
-
2019.3Q
디스플레이 융합
테크살롱 개최
- ICT 융합 기술 및 미디어아트와 디스플레이 스마트화 기술 접목으로 디스플레이 제품의 新 비즈니스 전략도출 및 모델 개발
- 디스플레이학회와 연계하여 프로그램 운영위원회 구성, 전문성 강화 - 국내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전문가, 학회 및 세미나 등에 참석하는 해외연사를 추적·관리하여 연사로 섭외
< 추진일정 >
-
2019.1Q
프로그램 위원회
구성 -
2019.2Q
연사섭외 및
프로그램 홍보 -
2019.3Q
디스플레이 융합
테크살롱 개최
-
3. 新산업 창출 아이디어 발굴 및 기술 사업화 기반 마련
정보, 의료, 교육, 서비스 등 4차산업 분야에서 미디어 아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의 ICT 융합 기술과 디스플레이 기술과의 접목을 시도
- 공모분야 : 제품 아이디어(자유공모), 비즈니스 모델(지정공모)
- 공모기간 : 2019. 5~6월
- 응모자격 : 내·외국인 (Global化 공모를 위해 SID 협조예정)
구분
제품 아이디어 부문(융합제품)
비즈니스 모델 부문(신기술)
공모형태
자유공모
지정공모
대상
일반인, 대학(원)생
스타트업, ICT 관련기업
평가기준
창의성(50), 실용성(30), 시장성(20)
사업성(50), 기술수준(30), 차별성(20)
포상규모
장관상(2), 협회장상(1), 협찬 기업상(1)
- 공모분야 : 제품 아이디어(자유공모), 비즈니스 모델(지정공모)
- 공모기간 : 2019. 5~6월
- 응모자격 : 내·외국인 (Global化 공모를 위해 SID 협조예정)
구분 제품 아이디어 부문(융합제품) 비즈니스 모델 부문(신기술) 공모형태 자유공모 지정공모 대상 일반인, 대학(원)생 스타트업, ICT 관련기업 평가기준 창의성(50), 실용성(30), 시장성(20) 사업성(50), 기술수준(30), 차별성(20) 포상규모 장관상(2), 협회장상(1), 협찬 기업상(1)
4. 혁신적인 기술창업 아이디어를 보유한 청년 창업 지원
< 사업 개요 >
▶ 사업기간 : 2018. 7.1 ~ 2019. 9. 30(15개월)
▶ 총 예산 : 6.5억원
▶ 최종선정(8) : 기창업자(3), 예비창업자(5)
추진배경
정부는 청년 창업 활성화를 통해 기술·생활혁신 등 연 12만개 창업을 유도하기 위한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방안'을 마련 (`17.11월) ,
`18년도 창업 활성화 신규 사업으로 추진
`18년도 창업 활성화 신규 사업으로 추진
2019년 중점 추진 업무
- 선정된 창업 기업(8개)에 대한 사업 지원
- 디스플레이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조·응용제품·서비스 등 사업 특성에 적합한 사업화 방향 제시(멘토 Pool 제공 및 컨설팅)
- 선정된 창업기업에 대해 지속적 성과추적 및 사업관리
- 2차년도 신규 사업추진 준비
- 2차년도 사업은 기존 사업명에서 `예비 창업패키지'로 사업명이 변경되며 예비-초기-도약 창업패키지의 3단계로 구성.운영
- 선정된 창업 기업(8개)에 대한 사업 지원
- 디스플레이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조·응용제품·서비스 등 사업 특성에 적합한 사업화 방향 제시(멘토 Pool 제공 및 컨설팅) - 선정된 창업기업에 대해 지속적 성과추적 및 사업관리
- 2차년도 신규 사업추진 준비
- 2차년도 사업은 기존 사업명에서 `예비 창업패키지'로 사업명이 변경되며 예비-초기-도약 창업패키지의 3단계로 구성.운영
5. 전자부품 융합 얼라이언스 지원
디스플레이·반도체 업계와 수요자인 자동차, IOT가전, 바이오·의료기기, 에너지 등 4개 분야 기업 간 상시적 소통의 장 기반 마련
- (내용) 업계 의견을 반영한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 접목 가능 분야 프로젝트 발굴
- (체계) [주관기관]전자부품연구원, [참여기관]산업기술평가원, 디스플레이·반도체산업협회, 전자진흥회, 바이오협회·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참여기업]디스플레이·반도체, 가전, 자동차, 바이오·의료기기, 에너지 등 산업체
- (운영 방식) 구성원을 상시 모집하는 Open Alliance 형태로 운영하여 업종간 융합을 촉진
- (내용) 업계 의견을 반영한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 접목 가능 분야 프로젝트 발굴
- (체계) [주관기관]전자부품연구원, [참여기관]산업기술평가원, 디스플레이·반도체산업협회, 전자진흥회, 바이오협회·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참여기업]디스플레이·반도체, 가전, 자동차, 바이오·의료기기, 에너지 등 산업체
- (운영 방식) 구성원을 상시 모집하는 Open Alliance 형태로 운영하여 업종간 융합을 촉진
가. 국가 핵심 기술 보호 지원
(최근 중국으로의 산업기술 유출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해 환경 변화를 반영한 국가핵심기술 개정 추진
- 업종별 학회 및 협회, 산업기술보호협회를 통해 의견 수렴
- 전문위원회를 통해 지정.변경.해제 대상기술선정
- 국가핵심기술 개정안에 대한 부처 협의 및 산업기술보호위원회 심의를 거쳐‘19년 1분기중 국가 핵심 기술 개정.고시 예정
* 위원장은 산업부장관, 위원은 중앙행정기관 차관급, 민간 전문위원으로 구성
< 추진일정 >
-
‘18.12월
• 후보기술 선정
- 협단체→산업부
• 대상기술선정(~12.27)
- 전문위원회 개최 -
‘19.2월
• 개정안 관계부처 협의
- 산업부→관계부처 -
‘19.3월
• 심의.의결 및 고시
- 산업기술보호위원회
심의·의결 및 지정고시
-
2019년도 중점 추진 업무
- 패널·장비·소재 부문별 간담회 개최를 통한 의견 수렴
- 국가핵심기술 관련 회원사 대상 정보 제공 및 문의사항 대응
-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업무 지원
나. 첨단기술 및 제품(첨단고시) 보호 지원
첨단기술 기업을 대상으로 자금.조세.입지지원 등의 혜택을 부여하기 위해 산업발전법 제5조에 따라 첨단기술 및 제품의 범위 고시
- 첨단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산업부로부터 첨단고시확인증을 발급받은 후, 과기부(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 첨단기술기업으로 지정 승인
- 첨단고시 확인증 없이는 첨단기술기업 지정 및 지원 혜택 수혜 불가능* 기술트렌드 및 제품의 변화를 반영하여 약 4년마다 개정하여 고시
< 첨단기술기업 승인절차 >
-
첨단고시 확인 신청
- 첨단고시 내 기술/제품 보유에 대한 확인증 발급 신청
첨단기술
보유기업 -
첨단고시 확인증 발급
- 기술별 소관과 통보
- 전문가위원회 검토
- 결과 송부산업부
(산업일자리 혁신과) -
첨단기술기업 지정요청
- 신청서 및 구비 서류 제출
첨단기술
보유기업 -
첨단기술기업 지정승인
- 현장실사 등 확인절차 수행
- 지정승인
- 지정서교부과기부
(연구개발특구 진흥재단)
-
2019년도 중점 추진 업무
- 첨단고시 관련 회원사 대상 정보 제공 및 문의사항 대응
- 회원사 대상 첨단고시확인증 발급 업무 지원
다. 디스플레이 산업기술보안협의회 운영지원
디스플레이분야 국가핵심기술에 대한 기술유출 방지 노력 및 핫라인 구축을 위한 디스플레이 산업기술보안협의회 운영
2019년도 중점 추진 업무
- 산업부, 산업기밀보호센터, 업계 등 15명 내외로 협의체를 구성하여 합동 워크숍 및 기술 보호를 위한 보안 교육 세미나 개최
- 국가핵심기술 개정 관련 업계 의견 조율 및 기술보호 가이드라인 작성
- 산업기술보호협의회를 산업기술보호 T/F 로 전환
- T/F 하부에 실무위원회를 구성
* 패널기업, 장비·부품·소재 기업간 국가핵심기술 개정에 관한 의견 조정
*기술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안) 작성
- 산업기술보안 T/F는 2019년 하반기 중에 산업기술 보안협의회로 재구성·운영
가. 회원사 세제 지원을 통한 경쟁력 제고
1. 부품.소재기업의 수입설비에 대한 할당관세 지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장비는 대부분이 무관세이나, 부품소재 생산에 필요한 설비에 대해서는 관세 존재
- ‘18년 할당 관세 품목으로 신청한 GLASS, PI필름 생산설비가 지정 확정(’18.12) 되어‘19년 13.6억원의 관세 절감 효과 예상
* ‘19년 관세절감 예상액 : LG화학 8억원, SK이노베이션 5.6억원
19년 중점 추진 업무
- 회원사 수요조사를 통해‘20년 수입 예정인 장비에 대한 할당관세 지원을 정부에 지속 건의
- 품목 : Glass 생산설비, 투명 PI필름 생산설비 등
- 기대 효과 : 약 10억원 관세 절감 기대< 추진일정 >
-
2019. 7~9월
2020년 할당관세
수요조사 -
2019. 10월
신청서 제출
(산업부->기재부) -
2019. 11월
기재부
방문 설명 -
2019. 12월
할당관세
최종 결정
-
2. OLED 시설투자 세액공제 활용 극대화
18년 신성장 시설투자 세액공제 요건이 개정됨에 따라, 시설투자 세액공제 활용 지원을 통한 회원사 경영 환경 개선 추진
- (개정 내용) 시설투자 세액공제 적용 기한을‘18년에서‘21년까지 연장하고, 매출액 대비 R&D 비중을 5%에서 3%로 완화(‘18.12)
2019년 중점 추진 업무
- 회원사의 시설투자 세액공제 활용 극대화를 위한 설명회 개최
- 주요 내용 : 세액공제 활용 방법, 신청절차, 기업 준비사항 등< OLED 시설투자 세액공제 활용 설명회(안) >
▶ 일시 / 장소 : 2019년 3월중 14:00~17:00 / 미정
▶ 세액공제 대상 : OLED 패널, OLED 패널 제조를 위한 장비.부품.소재
▶ 내용 : OLED 시설투자 세액공제 활용 방법, 신청 절차, 기업 준비사항 등
나. 환경규제 개선 및 대응 활동 강화
1. 배출권 거래제 2차 계획기간(’18~’20) 온실가스 감축 대응 전략 마련
정부는 환경.에너지 정책 방향을 고려하여 2차 계획기간(`18~`20년)에 온실가스인 N2O를 배출권 할당량에 산정
-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OLED 산업 성장에 따라 필수 공정가스인 N2O*의 사용량 지속 증가
* N2O : OLED 패널 제조공정(CVD) 중 차단층(SiO2) 구성에 사용되는 가스로 6대 온실가스에 포함
- N2O는 적용 가능한 측정 및 저감 기술이 없는 상황으로 공급가스가 100%로 배출되는 것으로 예측
2019년 중점 추진 업무
- N2O 저감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사업 추진
- (주요 내용)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배출 N2O 분해제거 기술 개발 및 온실 가스 감축 실적 인증
- (추진 방안) 환경부 Non-CO2 사업단 신규 과제 기획 및 지원
* 협회는 업계와 함께 Non-CO2 사업단의 기획 과제에 참여(’18.2~12)- (추진 일정(안)) 과제 공고(’19.1월) → 과제 접수 및 평가(~3월) → 연구사업 착수(‘19.4~’20.12)
- 신 기후체제 이행을 위한 기후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 참가
- `15.12월 파리협정 이후 후속 협상을 위한 당사국 회의(COP25)* 참가를 통해 글로벌 기후 체제 변화에 신속 대응
* 당사국회의 : `19.11월, 과테말라(예정)
2. 환경.안전 입법.정책 대응을 통한 경영 여건 개선
기업 부담을 증가시키는 환경 안전 관련 법률이 지속적으로 개정.입법 추진되면서 회원사 부담 증대
- (화관법) `15.1.1 전면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 시행으로, 가동 중인 시설에 대해서도 `19.12.31 까지 강화된 취급시설 기준(시행규칙 [별표5])을 충족*해야 하는 문제 발생
* 법 개정 이전 관리대상이 아니었던 ’저압부 시설‘에 대한 배관 안정성 검사
- 가동 중인 배관에 대한 비파괴검사, 내압시험의 기준 개선 및 업계가 자체적으로 실시한 대체 방안 인정* 지속 요청 필요
*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 [별표5] 上 제시된 법적 기준에는 下충족하나, 실제 운전 시 최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준을 적용한 시험 등 -
(산안법) 국회 환노위는 고용부의 산안법 전부개정안(’18.2)을 비롯한 58개의 산안법 개정안을 일괄 상정, 논의 끝에 환노위 대안(‘위험의 외주화 방지법’)을 마련, ’18.12.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
*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법안은 정부로 이송되어 공포(공포 1년 후 시행)
- 최종 법안에는 사업주 처벌 조항 완화 및 중대 재해 발생 시 작업 중지 요건 수정 등 산업계 의견이 일부 반영되었으나,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전부 개정을 위한 협회 대응 필요< 최종 법안 중 산업계 의견 주요 반영사항 >
< 최종 법안 중 산업계 의견 주요 반영사항 > 구 분 최종 법안 주요내용 사업주 처벌 ①산재사망 시 하한형(1년 이상)의 징역형 규정 삭제 및 처벌 완화(10년→7년)
②안전교육 수강명령 병과 임의규정으로 변경중대재해 발생시
작업 중지일부 작업중지 원칙, 사업장 작업중지는 불가피한 경우로 한정 유해작업 도급금지 도급금지 예외 단서규정* 마련
* 일시.간헐적 작업, 수급인 보유기술이 사업운영에 필수불가결한 경우
도급인의 책임범위 ①도급인의 안전.보건조치 대상을 도급사업장으로 한정
②원.하청간 안전보건조치 의무 구분물질안전보건자료
제출.비공개 승인①비유해성 화학물질은 MSDS 제출 대상에서 제외
②MSDS 승인 유효기간 연장(3년→5년)
③비공개 승인 요청을 승인하지 않을 경우 이의신청 절차 마련
④인터넷 공개 삭제 - (통합법) 환경관리에 대한 통합체계 구축을 위해 단계적으로 시행되는‘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통합법)’시행(`17.1.1) 으로 `20년부터 디스플레이 업종에 적용 예정
* 오염원별(대기오염, 비산먼지, 소음진동, 폐수 등)로 인허가를 받던 현행체계를 1개 사업장별 통합허가 체계로 전환하고, 업종 특성에 따라 맞춤형 배출 기준을 설정하는 내용의 법안
2019년 중점 추진 업무
- (산안법) 안전 보건 규제 입법정책 대응 강화
- 산안법 하위법령(시행령, 시행규칙) 전부 개정 대응
* 하위 법령 대응 TF 운영(기업안전환경협의회), 규제 심사 및 법제처 심사 대응 활동 강화- 사업장 안전보건제도 개선정책 활동 강화
* 위험성 평가, 작업환경 측정, 산재통계, 벌칙체계, 감독행정 등 제도개선 건의 -
(화관법) 화학물질 관련 규제 입법정책 대응 및 제도 개선
- 화학물질안전원 고시 및 기술 지침* 등 개선 건의를 통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준 및 검사 제도 합리화
* 환경부는 現시행 규칙 [별표5]를 3단계(규칙-고시-기술기준)로 체계화 추진 중- 장외영향평가서 및 위해관리계획서 통합 정책 대응* 등 제도 개선
* (가칭) 화학사고관리계획서 : 화학사고 전과정을 포괄 - (통합법) 디스플레이 업종에 `20년부터 적용되는 통합법 대비 예상 애로 도출 및 사전 대응 준비
3. 환경 안전 및 보건 규제 대응을 위한 대내외 정책활동 강화
강화되는 환경 안전 및 보건 분야 규제 대응을 위해 산업계 의견을 즉각 수렴하고, 입장을 반영할 수 있는 전략적 활동 필요
2019년 중점 추진 업무
- 법령 대응 및 제도 개선을 위한 분야별 전문가 회의 개최
- (화관법) 화학사고 예방보고서 통합 등 제도 개선 전문가 회의 개최
- (산안법) 작업중지 제도 개선 전문가 회의 및 간담회 개최
-
안전규제 입법 대응을 위한 조사 연구 및 홍보 강화
- (조사연구) 위험작업 도급과 산업재해 발생 상관관계 비교 분석 연구(‘19.2~),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체계 개선 연구(’19.3~) 등
- (홍보) 특집 기획 기사 및 정책 회의 참여를 통한 산업계 입장 개진
- 국제 활동을 통해 한국의 온실 가스 감축 체제 주도권 강화
- WDICC* 워킹 그룹 회의 및 메인 커미티 회의 참석
* WDICC : World Display device Industy Cooperation Committee
** `19년 회의 일정 : 제31차 WG회의(일본), 제32차 WG/제18차 MC(중국) - 회원사의 환경 안전 규제 대응력 제고를 위해 ‘한국전자산업대전’ 전시회 기간 중 반도체협회와 공동으로 환경 세미나 개최(‘19.10)
다. 통상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력 강화
1. 무역분쟁 대응 및 비관세장벽 해소
미중 무역분쟁, 비관세장벽 등에 대한 대응 및 정보 공유
- 미중 무역분쟁 관련 정보를 업계와 공유하고, 중국, 베트남 등 해외 진출에 따른 비관세장벽사례 조사를 통해 무역 애로 해소 지원
- 협회가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통상산업포럼, 비관세장벽협의회 등에 참석하여 디스플레이 업계 입장을 대변하고 업계와 정보 공유
< 비관세장벽 3건중 2건은 협회와 정부의 노력으로 해소, 1건은 대응중 >
┗ 30日이상 소요 되었던 수입통관이 비안서(중고 기계설비 검사 신청 후 발급받는 서류) 폐지에 따라 약 10日 이내로 단축
▶ 사례2 : 中 디스플레이 탭본딩장비 품목분류 분쟁에 따른 관세추징(‘18.3월 해소)
┗ WCO는 탭본딩장비를 한국이 제시한 무관세 품목으로 결정
▶ 사례3 : 中 중국내 우리기업의 수출물품이 반품되어 재수입시 관세부과(대응중)
2. 국제 공통 디스플레이 HS코드 신설 추진
국가별 품목분류가 상이하여 통상.관세 이슈가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품목에 대해 국제 공통 HS코드 신설 추진
- WCO(세계관세기구)는 5년을 주기로 국제 HS코드를 개정하며, ‘22년 HS코드 개정 목표로 디스플레이 전용 코드인 ‘HS 8524’신설 추진
< 추진절차 >
-
2019
- 3월 WCO HS위원회 상정
- 4월 HS 8524 규정 마련
- 6월 WCO 총회 상정 -
2020~2021
- 국내 관련규정, 해설서 보완
- 2022년 적용을 위한 국가별 HS코드 연계작업 실시 -
2022
국제공통
HS코드 적용
-
- 19년에는 관세청, 업계, 협회 공동으로 디스플레이 HS 8524에 대한 규정을 마련하고, WCO 총회에 상정
라. 회원사 애로 사항 발굴 및 규제 개선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업계의 다양한 애로사항에 대해 정부와의 공동 대응을 통한 해결 방안 모색 필요
- ‘18년에 ①장비기업에 대한 건설산재보험료 부과, ②소재기업의 연구소 이전 지연, ③중국 정책면세기간 종료 등 회원사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정부와 유관기관을 방문하는 등 해소 활동 전개
2019년 중점 추진 업무
- 협회 내 “애로사항 해소 전담반”을 구성하여 운영
- 회원사 애로사항을 상시 접수할 수 있는 온라인 창구를 마련하고, 적극적인 애로사항 발굴을 위해 반기별 조사를 정례화
- 애로사항을 제기한 회원사에 대해서는 협회에서 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상세내용 파악 후 결방안에 대해 공동 모색
- 애로사항을 범주화하고, 업무 성격에 따라 협회내 부서별로 이관하고,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해결될 때까지 추적 관리
- 산업부 수출점검회의, 비관세장벽협의회 등의 채널을 통해 정부에 건의하고, 관련 유관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애로해결에 노력
마. 현장 맞춤형 인력 공급을 위한 대응 활동 강화
1. 현장 중심 정책 대응을 위한 수요 발굴 체계 강화
(실무자 간담회) 국내 노사 관련 정책 수용에 대한 애로 및 신규 인력 채용, 재직 인력 교육에 대한 현장 수요 발굴을 위해 정기 간담회 개최
- (배경) 근로기준법 개정 등 노사 이슈 및 산업 패러다임 변화 등이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관련 수요를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는 유연한 대응 체제 마련 필요
-
(구성) 장비, 부품.소재 업종별 인사부서장급으로 구성하고 주제별로 외부 발제자 초청 혹은 관련 역량 강화 교육 지원
* 장비 및 소재 분야 각 분기별 1회 개최 -
(내용) 디스플레이 업계 노사 관련 현안에 대한 이슈 점검 및 공동 대응 방안 마련, 역량 강화 교육, 업종별 인력 수급 애로 파악 등
< 추진일정 >
-
2019. 2월
운영계획안 수립 및 Kick-off
-
2019. 5월
노사 관련 법안 교육
-
2019. 8월
인력 이슈 발제 및 협의
-
2019. 10월
인력 관련 정책 발굴
-
(인력수급 및 교육현황 실태조사) 민간 주도의 수요 조사를 통해 부족인력, 교육 필요 분야 등 관련 정책 제언 근거 데이터 마련
- (내용) 인력 및 교육 현황 등에 대한 실태 조사 후 인력 수급 추이, 관련 시사점에 대해 다각도로 분석 -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WG을 운영하고 현원, 부족인력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정부 통계와 비교 분석 후 신뢰성 높은 기초 데이터 확보
< 추진일정 >
-
2019. 1Q
실태조사 계획 수립
-
2019. 2Q
실태조사 실시
-
2019. 3Q
실태조사 결과 분석
-
2019. 4Q
실태조사 결과 공표
< 수요조사 개요 >
▶ 대상 : 디스플레이 패널.장비.소재.부품 기업(회원사 대상) 및 관련 대학
▶ 기간 : 2019년 2분기 or 3분기(약 1~2개월)
▶ 조사내용
- (Part1) 인력 현황(총괄) : 직군별 현원 및 재직인력의 학력, 연령, 고용 형태 등
- (Part2) 인력 구인 및 채용 현황 : 직군별 구인 계획 및 채용 실적, 구인 사유 등
- (Part3) 인력 채용 요건(자질) : 직군별 필요 능력 및 선호 전공 등
- (Part4) 재직 인력 교육 현황 : 재직인력의 교육 실태, 전문 교육 기관 수요 등
- (Part5) 재직자 향상 교육 훈련 수요조사 : NCS 능력단위별 교육 과정 수요
- (Part6) 정부 정책 만족도 조사 : 관련법 개정, 지원 정책 등 만족도 조사 -
2. 산업 현장 맞춤형 인력 양성
(디스플레이 R&D 인력 양성) 장비.소재 특화 커리큘럼을 이수한 중소기업 친화형 석사급 인력 양성(연30명) 후 후방산업 채용 연계 추진
- (현안) 2020년 사업 종료에 따라 후속사업(2단계) 추진 준비
- (중점추진 업무) 배출 인력 취업 성과 제고 및 업계 영향 분석을 통한 추가 지원 필요성에 대해 정부 제언
- 산학프로젝트, 현장 실습 등 중소기업 연계 현장 교육과 산학교류회 등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중소기업 친화형 실무 인재 양성
* 성과 : 배출(58명), 진학(9명), 취업(44명), 취업률(75.8%) (‘18.12기준, 누적)
* 중소기업 연계 산학프로젝트 최소 15개 과제 발굴 및 지원(과제당 약 3천만원, 총 4억원 내외)- 대내외 산업 및 교육 환경 분석, 1단계 성과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2단계(’20~‘25) 심화 교육을 위한 사업 계획 기획
< 추진일정 >
-
2019. 1Q
- 자체 평가를 통한 컨소시엄 재정비 (1월)
- 성과 분석 및 자립화 방안 용역 -
2019. 2Q
- 1차 산학프로젝트 선정 및 지원 (4월~9월)
- 2단계 사업 기획 WG 구성 및 운영 -
2019. 3Q
-2차 산학프로젝트 선정 및 지원 (7월~12월)
-산학교류회 개최 (7월)
-단기 해외연수 운영 (8월) -
2019. 4Q
-산학교류회 개최 (12월)
-2차 산학프로젝트 결과 평가 (‘20.1월~2월)
-
(재직 인력 역량 강화 교육) 산업 환경 변화 및 주력사업분야 전환(LCD→OLED)에 따른 재직 인력 역량 강화를 위한 재교육 실시
- (오픈아카데미) 디스플레이 석사 인력양성 사업에 참여 중인 6개 대학의 특성에 따라 산업 트렌드 분석 및 관련 기술 교육 실시
- 대학 인프라(강사, 교육장)를 활용하여 학교별로 연 1~2회(총 7,8회) 운영
* 참여대학 : 가천대(OLED 구동 회로), 경상대(OLED 재료), 성균관대(OLED 제작 평가 실습), 순천향대(OLED 특성 분석), 호서대(PDLC), 홍익대(OLED 모듈) 등 - (직무교육) NCS 기반 직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주요 대학과 연계하여 재직인력역량강화 교육 실시
- 실태조사를 통해 수요 발굴 후 우선순위에 따라 교육 실시(연 1~2회)
*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별도 전문가 WG 구성 및 운영< 추진일정 >
-
2019. 1Q
‘19년도 교육 계획 수립
-
2019. 2Q
오픈아카데미(1~2회) 직무교육 수요 발굴 및 우선 순위 도출
-
2019. 3Q
오픈아카데미(1~2회) 직무교육 개발
-
2019. 4Q
오픈아카데미(1~2회)
직무교육 실시 (1~2회)
-
(융합 산업 인력 양성) 웨어러블 등 신산업 육성을 통한 디스플레이 활로 모색을 위해 웨어러블 전문인력양성사업 추진(연40명)
- (현안) 2기 수혜학생 선발, 웨어러블 특화 교육과정 및 교재개발을 통한 사업 기반 마련 필요
- (중점추진 업무) 사업 시스템 체계화를 위해 전년도에 개발한 커리큘럼 및 교과 과정에 대해 업계 검증을 실시하고, 피드백을 통해 보완 운영
- 수혜학생의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해 참여기업-대학 간 업계 애로 기술 발굴 및 산학연계형 프로젝트 수행
- 산학연계 프로젝트 및 현장실습을 통해 학생-기업 매칭을 통한 자연스런 채용 환경 조성 및 산업계 교류기회 활동 강화
* 산학 프로젝트(1회 이상) 및 현장실습(80시간 이상) 필수 이수(학점 인정), ‘리크루팅데이’, ‘기술교류회’, ‘채용 박람회’ 프로그램 운영< 추진일정 >
-
2019. 1Q
-자체 평가를 통한 컨소시엄 재정비(1월)
-산학프로젝트 공고/선정 -
2019. 2Q
-산학프로젝트수행
-리쿠르팅 데이(5월)
-현장실습(6월~) 수행 -
2019. 3Q
-공통실무심화교육개최
-기술교류회 개최(7월)
-단기 해외연수 운영 (8월) -
2019. 4Q
-채용박람회 개최(10월)
-채용가이드북 배포(10월)
-기술교류회(11월)
-
3. 중소.중견 기업 채용의 장 마련
(취업박람회) 국내 최대 디스플레이산업대전(IMID) 부대행사로 운영하여 구직자에게 산업 및 기업 현황을 효율적으로 홍보하고 매칭
- 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과 사업을 통해 배출된 고급인력을 사전 수요 조사를 통해 매칭 후 현장에서 면접 실시
* 구직자에게는 다양한 기회를, 기업에는 채용 절차 대행을 통해 업무 간소화 지원 - 디스플레이 업계 퇴직자를 활용한 ‘직무 컨설팅’등 구직자 역량 강화 활동 지원
- IMID 전시 투어를 실시하여 인지도가 약한 중소기업을 효율적으로 홍보하는 등 시너지 효과 기대
< 취업박람회 개요 >
* IMID 2019 기간/장소 : ’19.10.8(화), 10.9(수) 휴관, 10(목)~11(금) / COEX Hall D
▶ 행사 내용
- 기업 채용관 : 기업-학생 사전 매칭 후 모의 면접 실시
- 취업컨설팅관 : 이력서.자소서 작성 스킬, 모의 면접을 통한 면접팁 컨설팅 등 실시
- 전시투어 : IMID 전시 주요 참가 기업 투어
* 반도체 및 웨어러블 산업과 공동 개최
< 추진일정 >
-
2019. 1Q
- ‘19년도 취업 박람회 개최 계획 수립
-
2019. 2Q
- ‘19년 하반기 채용 예정 기업 모집
-
2019. 3Q
- 디스플레이 업계 취업 희망자 모집
- 취업 박람회 개최 -
2019. 4Q
- ‘19년도 개최 결과 분석
(직무설명회) 장비.소재 업종 산업 구조(Value-Chain), 기업군과 직무별 필요 역량을 조사하여 구직자(학생 등)에게 정보 제공
- 패널 기업에 비해 인지도가 낮은 장비.소재 기업과 관련 강소기업을 소개하고 다양한 직무별 멘티와의 면담을 통해 비전 제시
< 직무 설명회 개요 >
▶ 대상 : 전자, 기계, 물리, 화학 등 관련 학부 2학년 또는 3학년 대상
▶ 프로그램
- 업종별 직무 소개 : 산업 특성, 주요 공정, 밸류체인, 기업 현황, 필요 역량 등
- Talk Concert : 인사 담당자, 기술기획 담당자, 영업 담당자 등 직무별 멘토와의 만남을 통해 맞춤형 컨설팅 실시
< 추진일정 >
-
2019. 1Q
- ‘19년도 직무설명회계획 수립 및 참여 기업 모집
-
2019. 2Q
- 대학 선정 및 장비 업종 설명회 개최
- 소재 업종 설명 프로그램 개발 -
2019. 3Q
- 대학 선정 및 디스플레이 장비.소재 업종 직무 설명회 개최
-
2019. 4Q
- ‘19년도 개최 결과 분석
(채용가이드 북)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인력 양성사업을 통해 배출된 고급인력의 교육 이수 현황, 관련 경험, 배출 시기 등을 포함한 정보 제공(연1회)
4. 차세대 디스플레이 인력 관리 체계 수립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직종 NCS 신규 개발을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인력육성 및 관리체계 수립
- (배경)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NCS 직무 표준화를 통해 관련 인력 양성 및 관리 체계의 내실화 도모 필요
* ‘18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개발/검사’직종 NCS 개발 완료, ‘19년 신규 과제를 통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재료‘ 직종 개발 필요 - (내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분야 NCS 및 활용패키지를 개발하여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교육훈련과정 및 자격출제기준 개발
< 추진일정 >
-
2019. 1Q
신규직종 NCS 개발 선정회의(전담기관)
-
2019. 2Q
사업계획서 제출 및 선정
-
2019. 3Q
NCS 및 활용패키지 개발
-
2019. 4Q
최종결과물 제출
바. 디스플레이산업의 생태계 강화를 위한 전문 펀드 조성
중소·중견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자금지원 체계 마련
- 디스플레이 관련 산업을 영위하는 국내 중소기업에 투자하여 국내 디스플레이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목적
- 디스플레이 전·후방 Value Chain에 집중적으로 투자하여 우수인력 양성 및 부품·소재 국산화 등을 통한 디스플레이산업의 질적 성장을 유도
- 디스플레이 분야 유망 벤처·중소기업 및 성장자금이 필요한 중견기업을 발굴하여 창업과 성장, M&A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
차세대 디스플레이 세계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기술 투자확대
-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R&D사업에 공동 투자
-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소재·공정·장비 분야 기술 개발 지원
- 디스플레이 융복합 제품의 조기 상용화를 위한 투자 지원
< 추진일정 >
-
2019.1~ 4월
• 1차 컨설팅 진행
- 전문기관을 통한 타당성 조사
- 디스플레이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펀드 조성 및 운영방안 제시 -
2019.5~9월
• 2차 컨설팅 진행
- 1차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펀드 지배구조, 출자자/운용사 조건, 타깃 기업군 등을 구체화
- 실제 펀드 조성을 위한 준비 -
2019.10~12월
• 펀드 조성을 위한 유관기관 MOU 체결
- 펀드투자자, 펀드사무국, 정부 기관, 운용사, 자문기관 등
가. IMID 2020 통합·글로벌 기반 마련
1. IMID 전시회 및 학술대회
IMID 2020 전시회 및 학술대회 개요
< IMID 2020 전시회 및 학술대회 개요 >
- (전시회) ’20.8.26(수)~8.28(금) / 서울 COEX Hall B(8,010m2)
- (학술대회) ’20.8.25(화)~8.28(금) / 서울 COEX 그랜드볼룸, 아셈볼룸, 오디토리움
▶주최: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KDIA),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KIDS)
▶규모
- (전시회) 150개사 400부스
- (학술대회) 20개국 2,500여명(외국인 400명)
▶주요행사
- (전시회) 비즈니스포럼, 국내외 패널기업 부스투어, 해외바이어 무역상담회, 채용박람회 등
- (학술대회) 개회식, 기조강연, 논문 발표, Tutorial & Workshop, 공식 만찬 등
IMID 전시회 및 학술대회 통합 개최를 통한 독자적인 디스플레이 전문 전시회로 발전
- 글로벌 행사로 자리잡은 IMID 학술대회와 통합 개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선도국가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전시회의 국제화, 전문화 도모
- 학술대회, 비즈니스 포럼, 해외바이어 수출상담회 등 부대행사 규모를 확대하여 국내외 디스플레이 종사자들 간 네트워킹 기회 제공
- 해외 바이어 및 연구 인력의 참가 확대로 실질적인 중견·중소기업 마케팅 성과 창출 및 매출 확대에 기여
IMID 2020 전시회 및 학술대회 통합개최 준비
- 참관객 편의를 고려한 전시장, 학술대회 및 비즈니스 포럼 회의장 대관
< 2020년 코엑스 전시장 및 회의실 배정현황 >
< 2020년 코엑스 전시장 및 회의실 배정현황 > 구 분 배정 비고 전시회 층 B홀(8,010㎡) 최대 400부스 수용 학회 1층 그랜드볼룸
2층 아셈볼룸
3층 오디토리움, E5∼6아셈볼룸 리모델링, 회의실 규모 확대 비즈니스 포럼 2층 아셈볼룸 아셈볼룸 2개실 사용시 360~400명 수용 -전시장 B홀(8,010㎡)은 학술대회 및 비즈니스포럼이 개최되는 회의장이 B홀 1~3층 라인에 집중되어 있어 참관객의 편의성 향상
- B홀은 최대 400부스까지 수용이 가능하며, 전시장과 그랜드볼룸 옥외 공간에 추가로 전시부스 설치 가능
- IMID 2020 통합개최 추진계획(안) 수립
- 학술대회 특별전시(′19.8월) 및 IMID 2019 전시회(′19.10월)와 병행하여 IMID 2020 전시회 홍보 및 참가업체 모집, 유치
< 추진일정 >
-
2월
MOU 체결 및 위원회 구성
-
5월
추진계획(안) 수립
-
8월
홍보자료 제작 홈페이지 구축
-
10월
참가업체 모집 및 집중 홍보
-
나. IMID 2019와 4차 산업혁명 기술 접목
1. 전시회
< 전시회 개요 >
* 10.9(한글날) 휴관
▶ 전시규모(목표): 7,281m2 / 120개사 320부스 / 참관객 약 7만명
* ‘18년 : 7,281m2 / 100개사 300부스 / 참관객 63,769명
자율주행차, AI 등과 디스플레이가 융합된 제품 전시
* 융합 얼라이언스 전담기관(전자부품연구원)과의 협업을 통한 홍보관 유치
- 디스플레이 기술을 기반으로 그림, 영상 등 예술적인 요소를 결합하여 미디어 아트관 운영
- 5대 업종(자동차, 에너지, 가전, 바이오, 기계)과 디스플레이 기술이 융합된 제품으로 융합 얼라이언스관을 구성하여 신사업 창출기회 홍보
전시 규모 확대
- 기존 참가업체의 재참가율 확대
- 기업 방문을 통해 애로 및 건의사항 반영 및 유기적 협력 관계 유지
- 협회 주요 행사 개최 시, 참석자 대상 전사적 홍보 진행
-
신규 참가업체 유치
- 국내외 유사 전시회 참가업체 부스 방문 및 대면 홍보
-
해외 참가업체 유치
-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대만 등 해외기업 유치확대
- 해외 유관기관 간 상호협력을 통한 전시회 홍보 협조
< 해외기관 별 상호협력(안) >
< 해외기관 별 상호협력(안) > 구 분 내용 중국 CODA, SDIA, Reed 각 협회/단체 주관 전시회 및 세미나
지원(연사섭외 등),
홍보 바터부스 교환 등 상호협력 강화대만 PIDA, TDUA 일본 Reed
홍보 활동 강화
- SNS 채널 구축
-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 활동을 통해 IMID 전시회 컨텐츠 지속 노출 및 홍보
- 디스플레이 산업 종사자 대상 IMID 전시회 관련 컨텐츠를 지속 확산함으로써, IMID 2020 전시회의 성공 개최를 위한 플랫폼 마련
- 'IMID 전시회'의 지속적인 노출전략 추진
- 협회 홈페이지, 협회 제작물, 명함 등에 IMID 로고 사용
- 유명 검색 사이트에 'IMID 전시회' 키워드 등재
전시 참가업체 비즈니스 성과 창출 및 만족도 제고
- 패널사 연구개발/구매담당자들의 접근성 확대를 통한 대.중.소기업 소통의 장 마련
- 파주, 기흥, 아산 등 디스플레이 집적 단위 위주로 셔틀버스 운행
- 전시참가업체 간 교류 기회 확대
- 전시장내 상담부스를 운영하여 참가업체간 사전매칭 진행 및 교류 기회 제공
- 중소 부분품 업체들을 위한 주요장비업체 대표임원 부스투어 진행
- 참관객 대상 참가업체 회사개요 및 주요제품 등 사전홍보
- 8월~9월 참관객 대상 주요 참가업체 소개 뉴스레터 정기적 발송
2. 비즈니스포럼
< 비즈니스포럼 개요 >
▶ 프로그램 구성(안):
① Big Player의 비즈니스 전략(Keynote), ② 시장 및 산업 트렌드
③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간 융합 기술 및 이슈
④ 중국.대만.일본 등 세계 디스플레이 기술 및 사업전략
⑤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⑥ OLED 장비.제조기술 등
▶ 유료등록(목표): 300명 (* ’18년 256명)
4차 산업혁명 연계 및 업계 수요 맞춤형 프로그램 구성을 통한 글로벌 위상 강화
- 19년 산업 메가트렌드 전망 및 산업간 융합* 핵심 이슈 점검을 통해 다양한 세션 구성과 발표주제를 선정하여 산업 발전 방향 제시 및 인사이트 제공
* 디스플레이-자동차, 검사장비-인공지능·딥러닝 등
- 비즈니스 포럼 위상 제고를 위해 SID학회장, 산업부 고위관계자 등의 축사추진 및 포럼 전일 VIP만찬 진행
- 해외 주요 기업·기관 임원급 초청 및 국내외 학회·협회와의 전략적 연계를 통해 해외 참석자 모집 확대
국내외 참가자 확대를 통한 내실화·국제화
- 기존 참가자 재참가율 제고 →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한 국외 참가자 확보 → 기존, 신규 참가자 지원 시스템 마련
* 비즈니스 포럼 홈페이지 개편 : 영·중문 신규 개설 및 사전결제 시스템 포함
- 국내외 학회, 협·단체와의 전략적 제휴·협력 및 해외 참가자 유치를 위한 파트너십 활용·추진
* 中, 臺, 日 등 유관 협·단체와의 연계, 제휴를 통해 연사 추천 및 홍보 등 상호 협력
* SID 컨퍼런스(5월), IMID 학술대회(8월/KIDS), 해외공동관 등과 연계하여 잠재된 해외 참가자 대상 비즈니스 포럼 홍보 실시 → 부스 내 홍보물 비치
가. 한·중 기업 간 마케팅 및 기술교류 활동 지원
1. ‘수출컨소시엄 사업’마케팅 지원 기능 강화
중국 패널기업이 ’18년 발주한 장비의 한국업체 수주율은 42~43%(17.9월~18.9월)을 기록했으나, 지속 점유율 유지를 위한 신규 라인 판로 선제확보 필요
- 비즈니스 미팅 진행 후 모니터링 및 실적조사 등 협회의 사후 지원 및 관리 필요성 증가
2019년도 중점 추진 업무
- 우수 중소ㆍ중견기업의 對中 판로 확대 지원을 위해 투자가 활발한 지역을 대상으로 현지 기업 방문 로드쇼 개최(‘19.6월중)
- 중국 기업의 투자 계획 및 관심 품목 등 수요를 先조사하여, 우리 기업들간 정보 공유 등 상호 1:1 매칭 사전 기획*, 실질적 상담효과 제고
* 상호 수요 반영, 장비 발주 예정인 중국 기업과 한국 기업 방문단 사전 매칭(’19.1~4)
* 수요조사를 반영하여 수출컨소시엄(중소기업중앙회) 참가기업 조기 모집(‘19.1)- 디스플레이 투자가 집중 예정 된 중국 장강삼각주 지역* 방문을 통해 시의적절한 수출 촉진 지원 및 한ㆍ중 상호 협력 기반 강화
* 우한, 허페이, 상하이 등 中 장강삼각주 지역에 BOE B16∼B17, CSOT T6, Tianma G6, CEC Panda 8.6G 등 다수 패널기업 新생산라인 계획 및 건설 중 - 구매 계획이 있는 바이어, 旣 교류한 구매 담당자 등을 IMID 기간에 초청, 국내 장비 및 재료.부품 기업과 1:1 무역 상담회 개최
- BOE, CSOT, Tianma 등 중국 패널기업 구매 및 기술 담당 주요 바이어를 초청, 1:1 상담, 부스 투어, 기업방문 등 활동 진행
- 후속 실적조사 및 업체별 개별 모니터링 등 사후 관리 진행을 통해 실계약 성과 창출에 기여
* CODA, SDIA, FPDSC 등 중국 협력 기관들과의 상호 협조 체계 활용
< 추진일정 >
-
‘18.12월
• 주관단체 모집 공고
- 컨소시엄별 주관단체 모집ㆍ공고
• 사업계획서 제출
• 주관단체 최종 선정
- 평가를 통해 선정 -
‘19.1~10월
• 컨소시엄 기업 모집
- 장비ㆍ재료 중소기업으로 구성
• 현지 파견(1회/年)
- 중국 기업 방문 로드쇼
• 바이어 초청 상담(1회/年)
- 해외바이어 초청 1:1 상담 -
‘19.12월
• 사후 정산 및 결과보고
- 사업 집행 결과
- 사후 정산(‘19.12~’20.下)
-
2. 한ㆍ중 디스플레이 산업 기술 교류회 개최
중국으로의 기술유출 우려로 우리 기업들의 중국 시장 진출 및 중국 기업과의 기술합작에 대한 애로사항 증가
- 양국간 유관 기관(CODA, SDIA 등)과의 공동 대응을 통해 기술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며 합작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 모색 필요
2019년도 중점 추진 업무
- 우리기업의 중국 진출 및 공동 기술개발ㆍ기술합작 지원을 위해 기술 협력 상담ㆍ논의 중심의 기술 교류회 정기 개최 (2회/年)
- 양국 협회의 기업정보DB*를 기반으로 상호 기술 협력 관심 기업 매칭 후 기술 합작 및 제품 공동 개발 등 심층 미팅 진행 지원
* CODA, SDIA 등 양국 협회 회원사 정보를 통해 중국 기업 정보 DB 분석, 양국 간 상호교류희망 수요조사 및 매치 메이킹 진행 (∼’19.3월) - 국내기업 제품 소개와 후방 산업에 타겟화된 시장 전망 공유, 中후방산업 기업 방문 등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으로 성과 창출
< 2019년 한중 디스플레이 산업 기술교류회 개최 일정(안) >
< 2019년 한중 디스플레이 산업 기술교류회 개최 일정(안) > 구 분 1차 (‘19.4) 2차 (‘19.10) 장소 주강 삼각주(심천) 서울 내용 기술 세미나 / 1:1상담 교류
기업 방문(中기업)기술 세미나 / 1:1상담 교류
기업 방문(韓기업)비고 CITE 2019(SDIA) IMID 2019 - 중국 진출관련 기술 동향 및 중국 정부 지원 현황 등 우리 기업의 실질적 중국 시장 진출 지원 정보제공을 위한 세미나 개최
* 중국 관련 연구소 및 유관기관과 협력체계 구축(중국경제연구소, 대외 경제연구소 등)
3. 해외 전시회 한국 공동관 운영
국내 우수기업의 글로벌 시장 개척 및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한국공동관 부스 설치.운영 및 비즈니스 상담 운영
< 2019년 해외 전시회 한국공동관 운영 계획 >
구 분 | 디스플레이 전문전시회 | ||
---|---|---|---|
전시회명 | FPD China 2019 | 1) 중국.대만.일본 등 기업 맞춤형 공동관 신규 발굴 * 예) C-Touch & Display |
|
일시 | 3.20~3.22 | ||
장소 | 중국 상해 | ||
한국관 규모 | 2019년 | 19개사 20부스 | |
협력기관 | KOTRA | ||
모집시기 | ~'18.12.21 |
- 글로벌 주요 전시회 참관 및 분석을 통한 벤치마킹
- 주요 전시회를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 시장 동향 및 마켓 정보, 전시 참가 기업 정보 파악, 회원사에 정보 제공
- 글로벌 주요 전시회 참가 기업을 대상으로 IMID 홍보
4. 중국 광동성 공동 Facility 설립 지원
국내 기업들의 진출이 확대되는 광동성 지역을 대상으로, 단독으로 진출 여력이 부족한 기업들을 위한 공동 시설 설립 방안 마련
- 광저우에 소재한 LG디스플레이 8.5세대 TFT-LCD 및 AMOLED 생산라인, LG화학에 납품 예정 기업 대상 공동 Facility 설립 지원
* 동반진출협의회 참가사 대상으로 LG디스플레이 및 광동성 정부와 협조- 현지 상무관 및 코트라 주재원 등과 필요시 협력 요청
나. 한·베트남 동반 진출 지원 사업 추진
베트남 휴대폰 모듈라인 동반진출 지원 사업 추진
- 국내 패널기업, 국내 중견·중소기업과 베트남 모듈 생산 기업* 3자간 컨소시엄을 구성, 공동 가공 및 생산 추진
*베트남 국영 통신사 비에텔그룹은 vivo, oppo에서 OEM으로 진행중인 휴대폰 사업을 직접 모듈생산 방식으로 전환 검토 중
해외(중국,베트남) 진출 확대에 따라 중소기업과 동반 진출을 통해 시너지 창출을 위한 해외동반진출협의회 운영
- 중국(강소성), 베트남(하이퐁, 호치민)에 진출 및 진출예정인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으로 동반진출협의회 구성, 운영
* 한국정부파견 상무관, 과학관 및 KOTRA, 코참 등 현지기관을 통해 중국 및 베트남 현지 정보 입수
< 해외동반진출협의회 단계별, 지역별 플랫폼 구축방안 >
- 해외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 현지 디스플레이 유관단체 및 조사기관들의 협력을 바탕으로 시장 조사 및 바이어 발굴 진행
* DT신재료, SDIA, Vinakoh, 대학 등의 전문가로 구성
< 2019년 해외 동반 진출 협의회 일정(안) >
< 2019년 해외 동반 진출 협의회 일정(안) > 구 분 1차 (‘19 상반기) 2차 (‘19 하반기) 장소 중국 강소성 베트남 하이퐁, 호치민 타겟 산업군 장비·부품·소재 패널·장비·부품·소재 내용 동반진출현황 연구조사
현지조사(삼성디스플레이)
성과발표회(19.05월)동반진출현황 연구조사
현지조사(LG디스플레이)
성과발표회(19.11월)비고 남경디스플레이협회 베트남 정부
다. 국제 기술 협력 사업 지원
1. 18년 중국진출기업대상 1:1 맞춤형서비스 지원 확대
중국에 旣진출한 기업과 진출 예정인 기업들의 다양한 요청사항에 대한 수요조사(직접 방문 포함)를 통해 1:1 맞춤형 서비스지원 확대 추진
- 수요조사를 통해 요청사항에 대한 Grouping 및 대상기업 선정을 통해 기업의 실질적인 요청사항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지원
진행 항목 일정 세부 진행 사항 기업별 수요조사
* 이메일, 방문상담~1.31 • 회원사대상 수요조사
* 신규거래처발굴, 에이전트발굴, 한중기업간 공동R&D, 부품 소싱 등지원대상과제 선정평가 2.28(목) • 중국 전문가 자문단 구성 및 평가
* 패널, 장비, 부품소재Kick Off Meeting 3.28(목) • 협회·기업간 협약 체결
* 세부 일정 및 전략방향 확정1:1 맞춤형 서비스 지원 4~12월 • 1:1 맞춤형 서비스 지원
* 협회 전담인력 배정을 통한 성공가능성제고
* 기업간 개별 방문 미팅 시, 협회 직원 동행결과 및 차년도 계획보고 12.27(금) • 결과보고 및 차년도 계획 보고
2. 산업기술 국제협력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지원
산업기술진흥원에서 지원하는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에 기술 협력 수요 조사를 통해 대상 기업을 선정, 공동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하여 실질적 기술 협력 성과 도출
- 해외기업(중국, 베트남, 이스라엘)과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양국 기업 간 수요가 일치하는 아이템을 바탕으로 1:1 미팅을 통한 전략적 지원을 통해 성공 모델 발굴
-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국제기술교류지원사업 등 정부 지원 과제를 협회가 수주하여 지원금 확보
-
1단계
• 지원대상기업 선정
- 모집 공고를 통한 참여기업 모집 및 평가 -
2단계
• 사업계획서 작성
- 양국 기업간 1:1 상담을 통한 Role Define -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 -
3단계
• 사업계획서 제출, 평가
- 참여기관으로 과제참여
< 추진일정 >
사업명 | 국제공동기술개발 | 국제기술교류지원 | ||
---|---|---|---|---|
성격 | 한.중 과제 | 한.베트남과제 (기타 국가) |
한.이스라엘과제 (한.이스라엘재단) |
세미나, 1:1미팅 R&D기획 |
국내 주관기관 | 기업 | 기업 (기업참여필수) | 기업 | 기업 및 기관 |
국내 참여기관 |
제한없음 | 제한없음 | 제한없음 | - |
상대국 전담기관 |
과학기술교류센터 | 없음 | 한이스라엘재단 | - |
지원규모 | 2억원/년 | 5억원/년 | 대형:200만$ 소형:20만$ |
미정 |
지원 기간 | 2년 이내 | 3년 이내 | 대형 : 3년이내 소형 : 1년이내 | 미정 |
공고/접수 | 신청(‘18년 11월) | 미정 | 미정 | 미정 |
전담기관 | 산업부 산업기술개발과 산업기술진흥원 국제협력단 |
산업기술개발과 국제기술교류 지원재단 |
라. 차세대 디스플레이 표준화 선도
1. 국가표준기술력향상 사업을 통한 표준 제안 및 네트워크 활성화
협회는 국가표준기술향상력 사업(국표원) 운영을 통해 디스플레이 및 웨어러블 분야 국제 기술 표준화의 중심 기관 역할을 수행 중
< 표준화 과제 수행 현황 >
구분 | 사업 기간 | 사업비 | 사업 내용 |
---|---|---|---|
착용형 스마트기기 표준화 | ‘17.4~’19.12 | 825백만원 | 착용형 스마트기기 국제표준(2종) 신규 제안 국제간사국 기반 조성 |
실감형 디스플레이 표준화 | ‘18.4~’20.12 | 825백만원 | 디스플레이 국제표준(6종) 신규 제안 분과위 운영 등 기반 조성 |
AR 3D HUD 성능 측정 국제 표준 개발(참여) | ‘18.4~’21.12 | 562백만원 | AR 3D HUD 성능 측정을 위한 표준 개발 및 제안3D 분과위 운영을 통한 기반 조성 |
19년 중점 추진 업무
- 디스플레이 및 웨어러블 분야 국제표준 신규 제안 및 차기 단계 승인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VR기기 등 실감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국제표준 제안 및 승인(6건)
** 착용형 스마트기기 센서 및 전자섬유 관련 측정법에 대한 국제표준 개발 및 신규 제안(2건) - 표준화 성과 확산 및 기술 교류를 위한 세미나 및 워크숍 개최
< 주요 추진 일정(안) >
< 주요 추진 일정(안) > 디스플레이 분야 웨어러블 분야 • 실감형 디스플레이 기술 교류 세미나
(‘19.6월, 12월)• 제 5회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국제 표준화 포럼(‘19.4월)• 디스플레이 표준화 국책 과제 통합 워크숍
(‘19.12월)• 착용형 스마트 기기 국제표준화 교육
(‘19.10월)• 웨어러블-디스플레이 산업 표준화
연계 전략 보고서 발표(‘19.12월)• 착용형 스마트 기기 국제표준화 국책과제 통합 워크숍
(‘19.12월) - 차세대 표준연구개발사업 기획 대응
- 국가기술표준원은 2020년 일몰되는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 후속 대응을 위해 차세대 표준연구개발사업 예티타당성 조사* 추진 중
* 사업 규모 : 7년간 3,500억원(‘21~’27)- 디스플레이는 신규 사업에서 지원할 15대 전략 분야 중 하나로 선정되어, 로드맵 작업에 참여(‘18.8~10)
- 향후 예비타당성 조사 진행 경과를 지속 모니터링하고, 디스플레이분야 과제 기획 참여를 통해 신규 과제 확보 노력
* 표준연구개발 사업 예타 추진 일정(안) : 기술성 평가 진행 중
가. 제10회 디스플레이의 날 개최
디스플레이에 종사하는 분들의 노고를 치하하고, 화합과 결속을 도모하기 위해 제10회 디스플레이의 날 개최
<제10회 디스플레이의 날 >
▶ 참석자 : 산업부장관, 협회장, 디스플레이 업계·학계·연구계 등 300여명
▶ 내용 : 디스플레이 산업발전 및 기술개발 유공자 포상 수여
- 산업부와의 공조를 통해 디스플레이산업 위상과 포상확대 당위성을 피력하여 훈장 및 대통령표창 추가 확보에 노력
- 디스플레이의 날 10회를 기념하여 디스플레이와 예술의 만남, 미디어 아트존 등 특별 전시부스 운영
나. 분과위원회 운영 활성화
1. 장비분과위원회
장비 핵심부분품 국산화 현황조사 등 장비 기획위원회 운영
< 추진일정 >
-
1~2월
장비부분품 분야 기획위원 구성 및 기획 방향 협의
-
3~9월
기획방향 설정에 따른 위원회 운영 (격주별 1회 개최)
-
10~11월
기획보고서 작성
-
12월~
정부보고
- 장비업계 주요현안 논의를 위한 장비 CEO 모임 지속 개최(6회)
2. 소재분과위원회(‘19년 신설)
(소재 분과위원회) OLED 중심의 소재분야 기획위원회를 구성하여 기술수요조사 및 新사업 추진을 위한 활동 수행
< 추진일정 >
-
1~2월
소재분야 기획위원 구성 및 기획 방향 협의
-
3~9월
기획방향 설정에 따른 위원회 운영 (격주별 1회 개최)
-
10~11월
RFP도출 및 기획보고서 작성
-
12월~
산업부 건의
- 소재업계 주요현안 논의를 위한 연구소장 모임 및 CEO 모임 개최 운영(6회)
3. 한중협력분과위원회
2019년 6월 한중 디스플레이 협력 분과위원회 5기 출범
한중 임원진 교류회 및 분과위 정기교류회 운영 확대
- 과당, 출혈경쟁 방지를 위해 분과위 참여 국내 기업간 유기적 협력 분위기 조성을 위한 모임 정례화
< 2019년 교류회 운영 일정(안) >
구분 | ‘18.1월 | 4월 | 5월 | 6월 | 7월 | 10월 | 11월 |
---|---|---|---|---|---|---|---|
한중 임원진 교류회 |
심천 (CSOT) |
우환 (BOE) |
서울 (中패널) |
||||
분과위 정기 교류회 |
조찬 간담회 |
정기 교류회 |
제5기 Kick Off |
정기 교류회 |
다. 디스플레이 리더스 포럼 개최
필요성
- 산.학.연 디스플레이 리더들간 시장 및 기술이슈 논의, 상호 정보교류 활성화
- 디스플레이협회 활동이 실무급 수준에 편중되어 있어 CEO급 교류활동 확대 필요성 제기
포럼 구성
- 디스플레이협회 회원사 대표이사(191명), 디스플레이학회 전.현직 회장단(약 100명), 외부 오피니언 리더중에서 가입 희망자
- 공동회장 : 디스플레이협회 회장.수석부회장, 학회 회장
포럼 운영
- ’19. 7월 개최를 통해 호응도와 성과를 판단하여 개최 주기 결정
- 포럼 회장 인사말, 연사 소개, 초청연사 강연, 질의.응답
- 발표주제 및 연사섭외 : 운영위원회에서 협의.결정
- 운영위원회는 협회내 장비.소재.한중분과위원장(3인), 학회 회장단 등으로 구성 - 사무국 : 디스플레이협회 및 학회
라. 회원사 정보서비스 지원 강화
1. 맞춤형 정보서비스 제공
회원사 수요가 높은 중국 시장 및 비딩정보, 패널기업의 생산 및 투자 계획 정보를 온.오프라인으로 제공 중
< 협회 정보서비스 제공 현황 >
분야 | 서비스명 | 주기 | 형태 | 내 용 |
---|---|---|---|---|
통계 | 회원사 맞춤형 정보 제공 |
상시 | 온라인 | 세계 디스플레이시장, 국가별 생산전망, 장비 시장 규모, 국가별 장비수요 전망 등 |
디스플레이산업 통계집 |
분기 | 온라인/ 인쇄물 |
기업별 세계시장 점유율, 국가별/기업별 디스플레이 생산 Capa 전망, 수출입 등 | |
업계 동향 |
Today's Display NEWS |
일간 | 온라인 | 디스플레이 관련 언론기사 클리핑 |
일일동향 문자 서비스 |
일간 | SMS | Today's Display NEWS 요약하여 문자 제공 | |
중국 정보 |
Weekly Display China |
주간 | 온라인 | 중국기업 최신동향, 비딩정보(입찰) |
Monthly Display China |
월간 | 온라인 | 중국 월간이슈, 기업정보, 비딩정보(입/낙찰), 중국 관련 전문가 기고 등 | |
Display Map in China |
분기 | 인쇄물 | 중국에 위치한 패널기업에 대한 생산라인 현황, 투자계획, 투자단계 | |
중국 디스플레이 리포트 |
분기 | 온라인/인쇄물 | 중국 현지 시장조사기관 심층 분석 |
협회 활동 및 정책 동향에 관한 월간 소식지 신규 발간
- (목적) 회원사에 제공하는 정보서비스 외 협회가 수행하고 있는 정책대응, R&D 기획 등 다양한 활동사항에 대한 회원사 공유
- (구성) 산업부, 환경부 등의 정책 동향과 협회가 진행하는 행사, 업무, 의견 조사, 대내외 회의 등 주요 활동 사항으로 구성
- (발행) 월간으로 발행하며, 홈페이지 업로드 및 온라인 제공
2. 정보 조사 네트워크 강화
시장조사기관 보고서 브리핑 서비스 제공
- 구매 분야 :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 디스플레이 부품소재별 생산기업 및 밸류체인, 국내외 패널 생산라인 및 장비 수요 등
- 시장조사기관 : IHSMarkit, Fuji Chimera Research, 유비리서치 등
- 제공 방법 : 보고서 목록을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회원사와 공유하고,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회원사 제공
- 디스플레이 통계집 및 Display Map in China 제작에 활용
정보서비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산업동향 자문 그룹 운영
- 디스플레이산업에 대한 심도 있는 시장현황 분석 및 발전적 대안 제시를 위해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산업동향 자문 그룹 운영
- 구성 : 경제연구원, 증권사 애널리스트, 시장조사기관 등 10명 내외
- 운영 : 시장 동향 및 주요 이슈에 대해 분기별 1회 개최
- 활용 : 자문그룹에서 논의된 내용에 대해서는 회원사와 공유하고, 양질의 자료를 선별하여 자료집 발간
3. 디스플레이/반도체 기술로드맵 세미나 개최
2019년 중점 추진 업무
- 디스플레이.반도체분야 대.중소기업 공생발전을 위하여 주요 대기업 미래 기술개발 방향을 중소·중견 장비재료기업과 공유
- 디스플레이.반도체 분야 주요 기업(LG, 삼성, 하이닉스 등)의 미래 기술개발 방향 및 ’19년 글로벌 경제 전망 공유
* ‘19.1분기 개최 / 산업부 주최, 반도체협회-디스플레이협회 공동 주관
< 추진일정 >
-
2월
행사 계획 수립
(산업부-반도체협회- 디스플레이 협회) -
3월 초
각 분야 연사 섭외 및 행사 준비
-
3월 하순
기술로드맵 세미나 개최
4. 체계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DB 확대 구축
누적 및 산재된 중국 디스플레이 정보의 활용도 제고 및 관리를 위한‘중국 디스플레이 통합 DB’구축 및 활용
- 바이어, 기업 및 기관, 비딩 입/낙찰 정보, 지원 정책 등을 주제별 데이터 베이스 Tool 구축 및 업데이트를 통한 정보 관리
우리기업의 중국 진출 형태, 애로사항 등 현황 파악 및 맞춤형 지원을 위해 중국 진출 기업 수요조사 실시 및 DB 구축
5. 디스플레이협회 회원사 디렉토리 북 발간
회원사간의 원활한 교류를 돕고 회원사의 마케팅 효과 증진을 위해 회원사 디렉토리 발간 추진
- 회원사 홍보를 위해 협회 행사(IMID전시회, 세미나 등) 기간중 디스플레이 관련 업체 및 유관단체에 배포예정
< 추진일정 >
-
1~4월
발간 작업 진행
* 정보수집 및 업데이트 등 -
5월 말
최종 발간